#12 (버튼) 세그먼트 버튼의 역할 모호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 25-03-18
- 조회561회
본문
"세그먼트 버튼의 역할 모호"
1. 사용성 문제점
홈택스의 검색창 하단 영역의 주요 메뉴 선택 하위에 나열된 항목들은 단순한 텍스트 목록처럼 보입니다. 사용자가 이를 클릭하거나 선택할 수 있지만, 그 기능은 기획자가 의도하려고 한 세그먼트 버튼 역할과 다릅니다. 세그먼트 버튼처럼 보이려면 각 메뉴 항목들이 명확한 세그먼트 버튼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며, 버튼에 마우스를 올리면 호버 효과가 나타나야 하지만, 그런 반응이 전혀 없습니다.
특히, 사용자가 "세그먼트 버튼인지? 클릭 가능한 버튼인지? 명확하게 확신하지 못하는 이유"는 호버 효과의 부족에 있습니다. 클릭 시 색상 변화가 있긴 하지만, 세그먼트 버튼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호버 효과입니다. 세그먼트 버튼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올리면, 상호작용이 가능한 버튼임을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시각적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버튼 호버 효과는 마우스를 버튼에 올렸을 때 색상 변화나 테두리 강조, 음영 변화 등을 통해 사용자가 그것이 클릭 가능한 요소임을 쉽게 인식하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현재 디자인에서는 버튼에 마우스를 올려도 호버 효과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클릭 가능한 버튼으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해당 버튼을 클릭했을 때 하위 메뉴 옵션이 제공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기 어렵습니다. 호버 효과는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중요한 시각적 단서로, 사용자가 해당 항목이 클릭 가능한 요소임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돕습니다. 이처럼 호버 효과가 없다면, 사용자는 해당 항목이 단순한 텍스트 링크인지, 아니면 클릭 가능한 버튼인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클릭 후 색상 변화만으로는 클릭 가능한 버튼이라고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호버 효과가 빠지면 사용자는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직관적으로 알지 못하게 되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사용자가 느끼는 태도
사용자가 겪는 불편은 주로 사용자의 기대, 예상과 실제 결과 간의 불일치에서 비롯됩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메뉴 항목에 마우스를 올려도 호버 효과가 없기 때문에, 그 항목이 클릭 가능한 버튼인지 또는 그 클릭 후 무엇이 일어날지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을 받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관련 페이지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클릭하면 하위 메뉴 옵션이 제공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사용자는 예상과 다른 결과에 당황하거나 혼란스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3. 기획자가 실수한 이유
기획자는 이 버튼 항목들이 모두 동일한 기능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을 수 있습니다. 각 항목들이 하위 옵션을 펼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세그먼트 버튼처럼 강조된 디자인보다는, 각 버튼을 동일한 형태로 디자인하여 상단과 하단의 항목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려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일반적으로 세그먼트 버튼은 버튼에 시각적 단서가 있는 등 일반적인 버튼과 구별이 명확합니다.
하지만 기획자는 하위 메뉴 항목들은 선택된 항목이 아닌 추가적인 옵션을 제공하는 기능이므로, 세그먼트 버튼처럼 강조된 디자인이 필요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획자는 세그먼트 버튼처럼 디자인하지 않고, 일관성 있는 스타일을 통해 각 메뉴 항목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것입니다.
4. 인지심리학 법칙과의 상충
1) 제이콥의 법칙 (Jakob's Law) 위배
제이콥의 법칙을 위배하는 사례는 호버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사용자는 기존 시스템에서 항목에 마우스를 올리면 색상 변화나 강조 표시가 일어나면서 그 항목이 클릭 가능한 버튼이라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이해해 왔습니다. 그러나 호버 효과가 없으면 사용자는 버튼이 클릭 가능한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없고, 시스템에 대한 예상과 다른 결과를 경험하게 되어 혼란을 겪게 됩니다.
5. 휴리스틱 법칙 상충
1) 시스템 상태의 시각화 (Visibility of System Status) 법칙 위배 이유
사용자는 버튼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바로 반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통해 그 버튼을 클릭할 수 있을지 없을지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입니다. 호버 효과가 없으면 버튼이 클릭 가능한 항목인지, 단순한 텍스트 항목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클릭을 시도하기 전까지 현재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혼란과 불확실성을 경험합니다.
5. 사용성 개선안
주요 메뉴 선택 하위 항목들이 세그먼트 버튼처럼 보이도록 하려면, 단순히 텍스트를 나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각 항목을 버튼 형태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하위 메뉴가 버튼처럼 선택 가능한 옵션으로 보이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메뉴의 선택 및 필터링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버튼을 클릭하면 하위 메뉴가 펼쳐진다는 시각적 단서를 적극적 사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항목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